최종구도
(평면편)
처음 사진을 시작할 때부터 내가 발견한 것은 대상(피사체)이 아니라 구도였다. 이것이 지금까지도 내가 사진을 다루는 태도다. 소재의 내용(이슈, 스토리, 사연, 역사, 함의)에는 아예 관심이 없었다. 아마 소재라는 개념도 몰랐을 것이다. 그러므로 주제라는 개념도 의식하지 않았다. 나에게 중요한 것은 '형식'이었다. 그것이 나를 사진 찍게 만드는 원동력임은 그때도, 지금도, 앞으로도 부정할 수 없기에, 나는 내용으로부터 작품설명을 시작할 수 없다.
그렇다고해서 작품의 내용적인 설명을 안 할 수는 없다. 작품에는 반드시 내용이 있기 때문이다. 형식만으로 시작하고 완성한 작품이라고 할 지언정 그 형식에 대한 내용은 존재한다. 나에게 있어서 내용이란, 이미 완성된 형식을 두고 오랜 시간 동안 통찰을 거쳐 찾아내어지는 자기분석의 결과다. 이는 작업을 하기 전에 어떤 주제를 정해놓고 그것에 맞는 형식을 만들어가는 것이 아니라, 직관적으로 형식을 먼저 완성한 후 그 형식이 탄생하게 된 원인을 논리적으로 역추적하는 방식이다. 이 작업은 2006년부터 시작했는데, 2012년이 되어서야 '최종구도'라는 제목을 짓게 되었다. 즉, 6년 동안 내용이 부재한 채로, 형식만을 생산했고, 이제서야 그 내용을 찾아 정리할 수 있게 되었다. (특히 사진이라는 매체에서 이러한 작업방식이 얼만큼 어떻게 가능한지, 또 과연 정당한지에 대한 무의식적 실험이었으며, 다른 한 편으로는 '기획'된 예술작업에 대응하는 태도라 할 수 있다.)
이 작업의 내용은 구도에 있다. 구도 자체가 형식이자 내용인 것이다. 처음부터 저런 구도로 사진을 찍은 것은 아니다. 일반적인 구도, 입체감이 느껴지는 구도, 대각의 다이나믹한 구도 등등 여러가지 구도들을 다 시도해봤지만, 그저 잘 찍은 사진 정도로 그치는 상태였고, 잘 찍은 사진으로는 예술이 될 수는 없으므로, 예술이 되기 위해서는 어떤 변수를 상수로 고정시킬 필요성을 느꼈는데, 대상을 고정시키는 것보다 대상을 바라보는 관점을 고정시키기 시작했다. 소재성에 본능적으로 무관심 했던 나로서는 당연한 결정이었다. 대상을 바라보는 관점은 곧 구도를 의미한다. 즉, 어떤 구도가 나의 기억 속에서 최종적으로 남을 것인가에 대한 예술적 선택이었다. 수없이 다양한 구도들이 있지만 과연 어떤 구도가 특정한 평면 바탕 위에 놓여있는 특정한 사물의 존재감을 최대치로 끌어올릴 수 있는가를 두고 접근해본 결과, 가장 보수적이고 단순한 구도로 수렴하게 되었다. 그러므로 이 작업의 내용은 내가 가진 '시각적 욕심의 끝'이라고 할 수 있다. 사진을 통해 시각적 최종성, 극단성, 종결성을 보여주려는 것이다.